이즈음, 나는 비에 젖은 글들을

헹구지도 않고 여기저기 널고 있다.

빨리 빨래나 걷으라고 다급하게 짖어대던 갑순이.

갑순이는 지금 어디에서 나를 지켜보고 있을까.

 

박완서
가장 나종에 남는것

어미와 아들
20년만에 만나

'좋아보이시네요,
너도 그러네'


부모와 자식이 그리될수도 있구나

매일 하루에 열번 스무번
전화해서 전화가 고장났어

고장이 안 났기 때문에 지금 통화하는 거라고,

매일 같은 말을 하루에도 수차례씩 한다.

아니다” “기다”, 급기야 소리지른다.

이게 너하고 이승에서는 마지막 전화지?” 되물으신다.

몇십년만에 듣는 목소리처럼,

목소리 들어 반갑다
전화가 고장났다고, 고장타령한 지가 5년은 넘었다.
일상의 전화가 지척에서 혹은 마주앉아서도 똑 같다. 

어제도 가나안 요양병원에서

유리벽을 마주하고 1미터 지척에서 얼굴을 보며 전화로 이야기했다.

코로나가 펼쳐준 신풍속도다.

 

그리고 오늘 새벽에도 서너번 전화하여  '징징~ 징징' 대신다. 

전화가 고장나서너에게 전화를 하지도 받지도 못한다고.

 

전화가 고장나지 않아도 20분거리에 있는 내자식도 오지 않는다.

나도 20 후면,  마주앉아서도 "전화가 고장났다"며
목소리 듣고싶다고 하소연 하는 날이 있을까.

자궁 안에 있는 아이도 어미도 서로가 그립다. 전화는 탯줄이다.

 

박정자는 연극에서

A 죽기 직전에

20년만에 찾아온 아들을 만나는 장면을 가장 인상 깊었다고 꼽는다.

"어머니가 죽을 때가 되니 아들이 찾아와.

그런데 사람의 대화가 처음 만난 사람처럼 덤덤해.

'좋아보이시네요', '너도 그러네'.

자식과 부모가 거기까지 있구나. 이게 인생이구나."

 

나는 아직인생을 모른다.

훗날을 짐작만 해도 답답하다.

오늘은 바람개비를 사러 나가야겠다.

내뿜어야 살것만 같은, 내 심호흡이 가장 먼저다.